“사이버 공격을 받으면 국익 차원에서 물리적 보복도 불사하겠다”
미국 국방성이 최근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혀 주목을 끌고 있다.
뒤를 이어 미국 일리노이주의 한 소도시 상수도 공급망에 러시아 해커가 침입해 단수 피해를 입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사안이 그리 심각하지 않아 보복조치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앞으로 보다 심각한 피해가 나온다면 미국 정부는 일벌백계 차원에서 사이버 테러에 대해 강력한 대응을 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바야흐로 사이버 공간이 하늘과 땅과 바다에 이어 미군의 ‘작전 지역’으로 추가되는 셈이다.
사이버 공간에서 적대적 공격을 받을 경우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 미국과 동맹국의 이익을 지킬 것이라는 게 미국 정부의 방침이다. 여기에서 적대적 행위라고 칭하는 것은 미국 정부와 군부뿐만 아니라 미국 경제를 직접 겨냥한 중대한 사이버 공격이다. 또한 보복 조치는 전자적 대응에 머물지 않고 군사적 행동까지 포함하는 것이기에 눈길을 끈다.
국방성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다루는 직원은 1만5천여명이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는 전세계 수백개소에 걸쳐 약 7백만대로 알려졌다. 이렇게 많은 컴퓨터에 사이버 공격이 매일 수없이 시도되고 있으며 수천 건의 파일이 매일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혹은 파일을 야한 포르노로 바꿔 놓기도 한다. 올해 3월 한달동안 2만 4천건의 파일이 도난 당한 것으로 추산됐다. 미국 정부가 강경 대응을 선언한 배경에는 이라크에 근무중이던 브래들리 매닝 일병이 폭로 전문 사이트인 위키 리크스에 수십만건의 정보를 유출한 사건이 있다.
미국의 기업 역시 사이버 절도 때문에 해마다 수십억 달러의 피해를 보고 있다. 하지만 이제까지 사실상 이에 대한 처벌은 없다시피했다. 특히 이같은 사이버 공격의 진원지가 중국 러시아 등 외국인 경우에는 속수무책이었던 것이다. 이제 해커에게 그들의 행동에 대한 값을 치르게 해주어야 한다는 것이 미국의 강경한 여론인 것이다.
하지만 보복과 응징을 하려다 엉뚱한 대상에 화풀이를 하지 않으려면 신속하게 공격 진원지를 찾아내야 하는데 인터넷의 속성상 쉽지 않다는 것이 숙제이다. 국방성은 해킹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연구와 함께 해커의 행태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활용하기 위한 심층연구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국제적인 공조가 이뤄져야 함을 물론이다.
에브리존 고문 조헌주